결제방법선택 |
---|
결제 금액 : 0 |
서브 페이지 컨텐츠
관세무역정보
제목 | [Weekly News]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 571억 달러 ··· 전년 대비 4.4% ↑ | ||||||||||||||||||||||||||||||||||||||||||||||||||||||||||||||||||||||||||||||||||||||||||||||||||||||||||||||||||
---|---|---|---|---|---|---|---|---|---|---|---|---|---|---|---|---|---|---|---|---|---|---|---|---|---|---|---|---|---|---|---|---|---|---|---|---|---|---|---|---|---|---|---|---|---|---|---|---|---|---|---|---|---|---|---|---|---|---|---|---|---|---|---|---|---|---|---|---|---|---|---|---|---|---|---|---|---|---|---|---|---|---|---|---|---|---|---|---|---|---|---|---|---|---|---|---|---|---|---|---|---|---|---|---|---|---|---|---|---|---|---|---|---|---|---|
통권번호 | 2093 | 발행일 | 2024-07-29 | ||||||||||||||||||||||||||||||||||||||||||||||||||||||||||||||||||||||||||||||||||||||||||||||||||||||||||||||||
기자명 | 김성은 | 이메일 | ray1023@kctdi.or.kr | ||||||||||||||||||||||||||||||||||||||||||||||||||||||||||||||||||||||||||||||||||||||||||||||||||||||||||||||||
첨부파일 | |||||||||||||||||||||||||||||||||||||||||||||||||||||||||||||||||||||||||||||||||||||||||||||||||||||||||||||||||||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 571억 달러 ··· 전년 대비 4.4% ↑수출 1위 품목은 화장품·수출국은 미국올해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이 전년 동기 대비 4.4% 증가한 571억 달러를 기록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7월 24일 ‘2024년도 상반기 및 2분기 중소기업 수출 동향’을 발표하며 중소기업 수출이 2024년 수출호조세에 기여했다고 전했다.
중기부에 따르면 중소기업 수출은 2023년 4분기(+1.6%)부터 증가세로 전환해 3분기 연속 수출 증가를 기록했다. 수출에 참여하는 중소기업 수는 7만 7,078개社로 949개社가 늘어나며 전년 동기 대비 1.2% 증가하며 역대 상반기 최고치를 기록했다.
내수기업 중 수출에 나선 신규기업이 소폭 감소(-1.3%)하고 중단기업이 증가(+6.1%)한데도 불구하고 수출 지속기업의 견조한 성장(+2.2%)이 이어지며 전체 수출기업수 증가세(+1.2%)는 유지됐다.
2024년 상반기 중소기업 10대 수출품목 중 8개 수출품목이 전년 대비 증가하며 증가세를 견인했다. 중소기업 1위 수출품목인 화장품은 전년 대비 30.8% 증가하며 상반기 최고 수출액인 33억 달러를 경신했다. 기존 주력시장이었던 미국, 중국과 더불어 신흥시장으로 수출국을 다변화한 것이 주요 증가 요인으로 분석된다.
● 2024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 10대 품목 ● (%)
※ 회색 : 2024년 상반기 전년 동기 대비 수출증가 품목(출처 : 중소벤처기업부)
플라스틱 제품은 8.0% 증가한 25억 9,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세부품목 중 최대 비중(58.9%)인 스마트폰 필름류(미국·베트남, 폴더블폰 수요↑)의 수출 확대가 지속됐으며, 분리막(이차전지 핵심소재)도 견고한 증가세를 유지했다.
이외에도 반도체 시장 업황 개선에 따라 5위 품목인 반도체제조용장비가 19억 달러로 상반기 최고 수출액을 경신했다. 對美 수출호조에 따라 전자응용기기가 4.1% 증가한 13억 달러를 기록하며 상반기 최고 수출액을 달성했다. 합성수지의 경우 글로벌 공급과잉에도 불구하고 국제 유가 상승에 따른 가격과 최대 시장인 중국(+3.6%)·미국(+52.9%)·베트남(+24.2%) 등 국가로의 수출 수요가 회복되며 전년 대비 6.4% 증가했다.
국가별로 살펴보면 2024년 상반기 중소기업 10대 수출국 중 7개 국가로의 수출이 전년 대비 증가했다. 그간 상반기 기준 수출국 1위였던 중국을 제치고 미국이 수출국 1위 시장으로 등극한 것이 눈에 띈다. 미국은 화장품(61.5%), 기타기계류(170.1%), 전력용기기(59.3%) 수출이 증가하면서 역대 상반기 최고 수출액을 기록했다.
● 2024년 상반기 중소기업 수출액 상위 10대 국가 ● (%)
중국의 경우 제조업 경기회복이 부진함에 따라 기타기계류, 계측제어분석기 등의 감소가 하락세를 주도하며 상반기 기준 최초로 수출국 1위에서 2위로 하락했다. 베트남의 경우 스마트폰을 포함한 IT 제품 수요 증가로 플라스틱 제품(+15.1%)·반도체(+36.2%) 등 주요 품목의 수출이 두자리수 증가했다. 전년 대비 8.4% 증가한 54억 8,000만 달러를 달성했다.
홍콩의 경우 최대 수출 품목인 패션잡화가 2023년 2분기 이후 5분기 연속 증가하며 주요 수출국 중 가장 높은 증가율(+50%)을 기록했다.
그밖에 신흥시장 중에서는 멕시코, 태국이 역대 상반기 최고 수출액을 달성했다. 멕시코는 인접국 이전 ‘니어쇼어링’에 따른 북미 생산거점으로 부각되며 자동차부품(+4.4%), 금형(+87.8%) 등 품목 수출이 두드러졌다. 태국은 K-푸드, K-뷰티의 인기로 김을 비롯한 해조류(+78.2%), 화장품(+14.0%)이 강세를 보였다.
온라인 수출의 경우 상반기 수출은 23% 증가한 4억 5,000만 달러로 최초로 4억 달러를 돌파했다. 2024년 상반기 온라인 수출액 4억 5,000만 달러는 전체 중소기업 수출의 0.8% 수준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지속하고 있다. 특히 온라인 총 수출액에서 중 중소기업 비중이 77.0%를 차지하며, 중소기업이 온라인 수출 분야를 선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2분기 수출의 경우 중소기업 10대 수출품목 중 7개 수출이 증가했다. 1위 수출품목인 화장품(+31.4%)은 최대 시장인 미국 수출 호조와 함께 역대 2분기 최대실적을 보였다. 5위 품목인 반도체제조용장비(+26.8%)는 반도체 경기 회복으로 주요 수출국인 중국, 네덜란드, 미국, 대만이 두자리수 이상 증가하며 역대 2분기, 전체 분기 기준 최대 수출액이었다.
중기부 최원영 글로벌성장정책관은 “상대적으로 부진했던 전년 대비 올해 수출은 연초부터 증가세를 보이고 있으며, 특히 중소기업 주력 수출품목 중 1위 품목인 화장품의 증가세가 매우 두드러진다”며, “정부도 중소기업의 주력 수출품목의 수출 확대를 위한 대책을 마련하는 등 총력을 기울여 2024년 총 수출 7,000억 달러 달성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김성은 기자|
※ 본지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한 보호를 받는 저작물로서 무단 복제 및 배포가 원칙적으로 금지되며, 협의 또는 허락에 의한 경우에도 출처를 반드시 명시하여야 함을 알려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