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주메뉴로 바로가기

한국관세무역개발원

서브 페이지 컨텐츠

게시판 상세
제목 인류 최초의 신발
통권번호 2136 발행일 2025-06-30
첨부파일

인류 최초의 신발

박 현 수|관세법인 부일 관세사

 

 

인류는 언제부터 신발을 신게 됐을까? 이에 대해 남아프리카공화국 넬슨만델라대 연구진은 남아공 남부 해안지역의 고대 인류 신발 발자국을 분석한 결과 14만 8,000년 전에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다고 국제학술지 ‘이크노스(Ichnos)’에 발표했다.

 

현재 남아 있는 가장 오래된 신발은 약 1만 년 전의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 오리건주의 한 동굴에서 발견된 것으로 기원전 7,000 ~ 8,000년 전의 것으로 추정되는 산쑥나무 껍질로 만든 샌들이다. 가죽 신발로는 아르메니아의 한 동굴에서 발견된 5,500년 전의 것이 가장 오래됐다. 화석으로는 프랑스 남서부 쿠삭동굴에서 발견한 2만 8,000 ~ 3만 1,000년 전 신발 자국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 학자들은 실제 인류가 신발을 사용하기 시작한 것은 이보다 훨씬 오래전이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그러나 신발 소재들이 쉽게 썩는 것들이어서 화석으로 남아 있는 경우가 많지 않아 언제부터 신었는지 정확히 알 수 있는 방법은 없다.

 

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 연구진은 인류가 신발을 신기 시작한 시기를 약 4만 년 전으로 추정한 연구 결과를 2008년 ‘고고학저널(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에 기고한 바 있다.

 

관세율표에서 신발은 제64류 ‘신발류·각반과 이와 유사한 것, 이들의 부분품’에 분류된다.

 

단 제64류 주 제1호에서 “가. 바닥을 대지 않고 얇은 소재(예 : 종이·플라스틱 박판)로 만든 일회용 신발류와 신발 덮개는 구성 재료에 따라 분류, 나. 방직용 섬유재료로 만든 신발류[바깥 바닥과 갑피(甲皮)를 접착제로 붙이거나 바느질하거나 그 외 방법으로 붙인 것은 제외한다](제11부), 다. 사용하던 신발류(제6309호), 라. 석면제품(제6812호), 마. 정형외과용 신발이나 그 밖의 정형외과용 기기나 이들의 부분품(제9021호), 바. 완구용 신발·아이스스케이트나 롤러스케이트가 붙은 스케이팅부츠, 정강이 보호구나 이와 유사한 보호용 운동용품(제95류)” 등의 몇 가지는 제64류가 아닌 다른 해당 세번에 분류되고 있다.

 

 

※ 본지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법」에 의한 보호를 받는 저작물로서 무단 복제 및 배포가 원칙적으로 금지되며, 협의 또는 허락에 의한 경우에도 출처를 반드시 명시하여야 함을 알려드립니다.
 

페이지인쇄
이전/다음 게시물